본문 바로가기
[문화] 독서│영화│다큐 리뷰

경제 다큐 돈의 힘 1부 - 탐욕의 시작

by 리자까 2020. 5. 17.

 

경제 다큐 '돈의 힘' 리뷰

 

 

안녕하세요. 밑그림입니다.

 

 

이번 주말, 가볍게 '돈 공부'를 하고자 다큐멘터리 한 편을 보았습니다.

‘돈의 힘’이란 주제로 총 6부작으로 제작된 KBS 다큐멘터리 중 1부였죠.

 

이 다큐의 오프닝은 우리에게 익숙한 ‘대출’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부터 설명하고 있습니다.

많은 돈이 오가는 곳은 아무래도 상거래겠죠. 

 

이야기는 역사 속 ‘무역 거래'를 언급하면서 시작합니다. 

 

홀대받던 대부업이 어떻게 현대 금융의 형태가 되었는지

다큐를 토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문자는 어떻게 숫자가 되었을까

서기 1200년 경, 해외 무역이 많았던 이탈리아 ‘피사’에선 많은 상인들이 Ⅰ,Ⅱ,Ⅲ,Ⅳ,Ⅴ와 같은 로마문자론 셈이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죠.

이 때 ‘피보나치’란 수학자가 1,2,3,4와 같은 ‘아라비아 숫자’를 응용해 회계나 환전, 이자 계산과 같은 새로운 계산 체계를 만들어냅니다.

 

 

 

 

무시했던 유대인에게 돈을 빌릴 수밖에 없었던 이유

문자가 숫자가 되고 계산이 쉬워진 후, 

해상무역이 발달한 베네치아(영어로 베니스)에서부터 대부업은 시작됩니다.

많은 귀중품이나 사치품 등이 대규모로 거래되면서 금전 대출 없이는 무역이 불가능하게 되었죠.

 

이때 상인들에게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 바로 ‘유대인’이었습니다.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을 죄악시 여기는 기독교 상인들에겐 다른 대안이 없었어요.

 

유대인들은 ‘게토 누오보’라는 지역에 갇혀 의자에 앉아 상인들과 돈놀이를 했습니다.

은행을 뜻하는 뱅크(bank)는 유대인이 앉아있던 ‘의자’ 방코(banco)에서 유래되었다고 해요.

 

당시 고리대금업의 모습은 세익스피어 ‘베니스의 상인들’에서도 잘 묘사됩니다.

특히 악덕 고리대금업자인 ‘샤일록’은 주인공 안토니오에게 돈을 빌려주는 대신 심장 근처 살을 1파운드 받아내는 계약을 하죠.

(물론 계약서에 ‘살’만을 원했으니 피 한 방울 없이 살만 가져가라는 판결에 포기하게 되고 그의 전재산은 몰수당해요…)

 

이처럼 대금업은 멸시 받았던 유대인에게 허용된 유일한 경제활동이었다고 합니다.

 

 

 

 

대부업이 인정받지 못했던 이유

 

이처럼 ‘대부업’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사회적으로 ‘용납 받을 수 없는 대가’(이자)를 요구했기 때문에 꽤 오랜 시간 동안 불법의 영역에서 천대받았었죠.

 

고리대금 업체는 살아남기 위해 덩치를 키워서 강해지는 노력을 합니다.

바로 ‘은행’이 생기기 시작한 것입니다.

 

 

 

 

 

뒷골목 불량배가 만든 '은행'

15세기 이탈리아 ‘게토’에선 합법적인 ‘은행’이 생기고 이와 함께 번성한 가문은 ‘메디치가’였습니다.

사실 메디치가는 1400년도 이전엔 저질범죄나 폭력이나 저지르는 뒷골목 불량배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던 중 ‘지오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라는 인물이 등장해 “고리대금업”을 합법화하는 데 힘을 썼어요.

고리대금을 방지하는 법을 피하기 위해서 ‘환전서비스’를 이용해 이자는 없지만 환전할 때 수수료를 받기 시작한 것이에요.

 

이러한 회계법을 토대로 메디치가는 피렌체 → 베네치아 → 로마에까지 영업망을 넓혀 규모를 키웠습니다. 다양한 지역으로 대출을 분산해 불량 채권에 대한 위험을 낮췄던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 대 개인으로 거래된 ‘고리대금업’에서

‘금융업’으로 진화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으로 넘어가 성형한 금융업 

이탈리에서 시작한 현대 금융은 미국으로 오면서 그 모습이 많이 달라집니다.

귀족들에게만 돈을 빌려주었던 메디치가와 달리 미국은 누구에게나 빌려주게 됩니다.

 

그러한 예시로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지역을 말합니다.

많은 파산자로 유명한 멤피스 지역에선 자동차, 급여를 담보로 돈을 빌려주고 백화점 크기만 한 전당포도 있습니다. 심지어 자신의 피를 주고 25달러를 빌릴 수도 있죠.

돈을 빚지게 하고 그 빚을 갚지 못한 사람들은 대부분 돈을 갚는 대신 ‘파산신청’을 선택하게 됩니다.

 

미국의 법은 기업가를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미국 자본주의의 특징은 ‘빚을 갚지 못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실패하더라도 파산 후 좌절하지 않도록 재기의 기회를 주는 겁니다.

 

은행의 입장에서 대출해준 이자가 연체되는 것일 뿐 어떻게 돈을 갚을지 계획표를 수정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하죠.

 

 

(1부 종료)

 

 

2부 예고 – 채권 시장

1부에서는 ‘대출’은 경제 성장의 기초라고 말합니다.

사람들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은행’이 있어야 비로소 돈이 움직인다고 말하죠.

 

결국 은행이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왜 최근에 은행이 파산신청을 했는지, 왜 금융위기가 왔는지 추가 질문을 던집니다.

과거에 비해 금융업이 복잡해지면서 어떻게 ‘금융상품이 포장’되어가는지

‘채권시장’을 통해 말해보겠다고 2부를 예고하고 1부는 끝이 납니다.

 


외국 진행자가 나와 낯익은 성우의 목소리로 더빙한 버젼이라

약~간 올드한 감성이 느껴지지만,

내용은 흥미로웠어요!

 

역사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만족하실 거예요. 

필요하신 분을 위해 링크 달아놓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Reb9zyJfR0